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SCOR) MODEL AT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DOD)
Michael James Arendt Jr., Ph.D., 2012 / 박사과정 1학기 손승표
■ Chapter 1: Introduction to the DoD Supply Chain
미 국방부의 Supply-Chain은 1,000,000만 명 이상의 현역 군인, 민간인, 그리고 계약직 군무원들을 지원하며, 약 $90 billion의 재고 물자를 관리함과 동시에, 15,000 대 이상의 항공기들, 300 정 이상의 함정들 그리고 30,000여 대의 전투 차량들의 유지보수를 지원하고 있다.
Supply-Chain은 미 국방부 운영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여러 다양한 상황하에서의 임무 수행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미 국방부는 국제기준에 준하는 업무수행 (in response, reliability, costs etc.) 없이도, Supply-Chain 운영에 매해 약 $270 billion의 비용을 사용하고 있다. 더구나 유지보수 비용은, 미국이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군사작전을 수행했던 지난 10년 동안, 87%나 상승하였다.
최근 몇 년간, 미 국방부는 Supply-Chain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다양한 조치들을 수행하였다. 업무개선 (자산 트래킹, 에러 감소 등), 비용절감, 전투원들을 위한 즉각대응성 향상 등을 찾기 이루기 위한 동기부여 조치들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계측화된 개선 성과에 대하여는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다양한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Supply-Chain 현대화 목표와, 수행 진행단계 수준 사이의 disconnect가 존재하고 있다. 다행히도 미 국방부는 efficiency (효율성) 와 effectiveness (유효성) 개선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는 사실 기존 민간 영역에서 지난 몇 십년 동안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효율성 및 유효성 극대화를 위한 현대화된 Supply-Chain 관리 관행 및 절차의 개선 방법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과 같다. 예컨대 오늘날 Wal-Mart, Dell, Fedex, Caterpillar 같은 세계 수준의 기업들이 더 나은 수준의 서비스와 supply-chain을 통한 더 원활한 수준의 제품공급, 그리고 전지구적 소비자 대상 판매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행하는 일련의 활동들은 이미 미 국방부가 행했던 활동들의 일부분을 차지할 뿐이다.
민간의 이러한 다양한 관행과 절차개선 조치들은 이미 군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미 국방부로 하여금 Defense Supply-Chain 현대화 노력을 위한 도구로서 기능할,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SCOR) Model 공급사슬 운영참조모델로부터 최적관행과 실행절차개선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를 정립하는 데에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 3가지 연구 질문 (research question) 을 제시한다.
1. 어떻게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SCOR) Model 공급사슬 운영참조모델이 US DOD에 의하여 기업-수준의 도구로서 활용되도록 채택될 수 있는가?
2. 채택 이후, 이 새로운 도구의 도입에 대한 어떠한 장벽들이 존재하는가?
3. 이러한 장벽들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Chapter1 에서는 Supply-Chain에 대한 기본 정의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비즈니스 상에서의 Supply-Chain management practice를, 군사 vs, 상업 Supply-Chain의 비교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Chapter2 에서는 SCM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SCM의 개선사항 측정을 위한 여러 다양한 종류의 평가지표들을 살펴보고, Supply Chain 성과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SCOR model 이 소개되고, 이에 따른 2가지의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1. SCOR at HP; 2. SCOR at Intel)
Chapter3 에서는 SCOR model의 확장된 개념이 소개되고, 이를 defense 환경에 도입한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known as MILSCOR) 그리고 MILSCOR model 의 개념과 중요도, target audience 를 밝히고, MILSCOR의 5가지 성과 특성인: Reliability, Responsiveness, Agility, Cost, Asset Management 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Chapter4 에서는 MILSCOR 실행을 위해 필요한 조직의 변화를 위한 변혁적 (Transformational) 요소들을 연구해보고, 이와 관련한 장벽들, 그리고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을 함께 다룬다.
Chapter5 에서는 MILSCOR 실행을 위해 필요한 조직의 변화를 위한 거래적 (Transactional) 요소들을 연구해보고, 이와 관련한 장벽들, 그리고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을 함께 다룬다.
Chapter6 에서는 CF34 와 TF34 aircraft engine의 지원 전략을 비교한 사례 연구를 제시한다.
Chapter7 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한다.
SCOR Model :
SCC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공급사슬 프로세스의 모든 범위와 단계를 포괄하는 참조모델임. 계획 (Plan), 조달 (Source), 제조 (Make), 배송 (Deliver), 반품 (Return) 의 5가지 관리 Process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의 효율을 위한 SCM 공용프로세스 구현이 목적임.
SCOR Model 해결에 도움을 주는 SCM 상의 제문제 :
- 탁월한 고객서비스
- 원가관리 (프로세스 지표로 나타남)
- 계획수립 & 위험관리
- 공급자 / 동반자 관계관리
- 인력 (재능) 관리
Adaptation of the Supply Chain Maturity Model for MILSCOR
Stage1; DOD의 기능적 업무조직 (예: 개별창고, 개별업무공간, 개별지원계약자) 들은 각각의 운영 단계들과 자원의 활용을 개선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개선에 대한 중점은 비용과 기능적 성과에 일차적으로 관련된 문제이다. 다양한 기능과 업무조직에 대한 충분히 조직화되고 계획되지 않은 개선시도는 복잡한 supply chain process 에 제한된 실효성만을 갖게 한다.
Stage2; Command 단계의 절차들은, 개별 업무조직들이 복잡한 supply chain process 상에서 각각의 역할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잘 정의하여 받아들이게 되는 단계이다. 교차기능 업무수행 성과측정 속성들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고, 개별 업무 조직들이 신뢰성 있게, 전체 Command 단계의 운영 성과를 위하여 기능하고 있는 단계이다. 잘 계획되어진 수요/공급 균형 절차들은, 자원조달과 제조와 관련된 분야에서 사전예측과 계획의 유기적 통합을 통하여 상호 기능하도록 이 단계에서 기능하게 된다.
Stage3; Stage2의 관행들은 이 단계에서 Supply Chain Process 상의 수요자들과 공급자들과의 접점으로까지 보다 확장되게 된다. JASs (Joint service Agreements: 공동서비스협정), 스코어카드 시스템 등이 사용되어지며, 성과가 예측치 이하로 측정되면 조정 action들이 받아들여지게 된다.
Stage4; Supply Chain Process 상의 수요자들과 공급자들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전략과 실시간 성과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협업하게 되는 단계이다. 정보기술의 활용은, supply chain 전략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defense enterprise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한다. Supply Chain Maturity Model은 MILSCOR (전체적인 supply chain 운영 관행들 포함) 에 의하여 정의된 supply chain 성과지표들을 위한 역량 단계의 측정에 활용되어진다.